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
Shock 정의, 종류, 응급간호 I. shock의 정의 신체조직으로 산소, 전해질, 당과 수액 등의 관류가 부적합한 경우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상태로서, 전반적인 순환 부전으로 전신 조직의 산소요구량에 비해 조직으로 공급되는 산소량의 불균형 발생. 하나의 단순한 질병이 아니라 임상증후군이며 심한 출혈, 화상, 충격, 손상, 중독, 과민반응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저혈압 같은 증상만 가지고 쇼크라고 정의 내릴 수 없다. 세포대사에 필요한 혈류와 산소공급이 부족한 상태, 일시적이며 가벼운 정도의 것으로부터 죽음에 이르는 것까지 여러 단계가 있다. 조직별 저관류 진행속도(이상 초래 시 영구적 손상) 중추신경계 4~65분 신장 45분 골격/근육 2시간 이상 II. shock의 종류 종류 비정상적 기능 부위 예 저혈량..
제세동과 심율동전환의 차이 전기충격(electric shock)을 주는 방법에는 제세동(세동제거,defibrillation)과 심장율동전환(cardioversion or counter shock)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제세동(defibrillation) : 심실세동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제세동은 심실세동의 발생 15~20초 이내 시행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신속한 제세동은 심정지 환자의 예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제대로 된 QRS파를 볼 수 없는 심실세동에서는 동기화 스위치를 켜면 전기 에너지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제세동 시 동기화 스위치(synchronizing switch)가 꺼져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심실세동의 제세동에 필요한 에너지는 이상성파형(biphasic waveform) 제세..
열날 때, 발열 시 대처법, 간호중재 오늘은 열날 때! 발열 시! 대처법 그리고 간호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발열의 단계별로 증상과 간호가 다르다는 것을 알고계셨나요?? 정확하고 간단하고 빠르게 알려드리겠습니다. 1. 발열 단계에 따른 임상적 징후와 간호 단계 증상·징후 간호 오한기(상승기) -추위와 오한 - 창백한 피부 - 차가운 피부 - 소름이 돋고 체온 상승 - 여분의 담요 제공 - 수분섭취 증가 - 활동제한 - 심장이나 호흡계에 문제가 있는 경우 산소 공급 발열기(고온기) - 춥거나 덥게 느껴지지 않음 - 구강점막의 건조 - 갈증 - 탈수 가능성 - 허약, 피로, 근육통, 졸리거나 불안정함 - 경련가능성 - 오한을 막기 위해 따듯하고 가벼운 옷 입기 - 수분섭취 권장 - 휴식 - 구강과 비강 내 점막에 윤활제 적용 - 체온이 매우..